<p></p><br /><br />베이징에 가면 가로수로 버드나무와 미루나무가 죽 늘어서 있습니다.<br> <br> 가격이 싸고 빨리 자라며 이산화탄소를 잘 흡수하기 때문에 중국이 1970년대부터 가로수로 많이 심었는데요, <br><br>문제는 황사 못지않은 골칫거리가 봄이면 눈덩이처럼 내린다는 겁니다.<br> <br> 이게 뭘까요?<br><br><세계를 가다> 사공성근 특파원이 전해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4월마다 함박눈처럼 대기를 가득 채운 하얀 꽃가루 덩이. <br> <br> 건조한 날씨 속에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베이징 전역으로 퍼집니다. <br> <br>[황모 씨/ 베이징시 주민] <br>"꽃가루 때문에 비염이 심해졌어요. 매일 콧물이 나고 재채기를 합니다. 하루종일 휴지로 코를 닦아서 코가 아플 정도입니다." <br><br>호수 수면이 하얗게 변할 정도로 꽃가루에 뒤덮였는데요, <br> <br> 베이징 시내에는 이처럼 꽃가루를 내뿜는 나무가 28만 그루 자라고 있습니다.<br> <br> 4월 들어 북서쪽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몰려오는 황사를 막기 위해 1970년대 베이징은 대대적인 녹화 사업을 벌였습니다. <br> <br> 빨리 자라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도 잘 흡수하는 버드나무와 미루나루를 선택했지만, 꽃가루가 불러올 문제는 내다보지 못했던 겁니다. <br><br> 반세기가 지난 지금, 암나무 한 그루당 해마다 1kg 정도, 모두 28만 톤 넘는 방대한 꽃가루가 베이징 전역에 흩날리고 있습니다.<br><br> 호수를 뒤덮은 꽃가루를 연신 걷어내보지만 머지 않아 수면은 다시 하얗게 변합니다. <br> <br> 실내로 피하지 않는 이상 꽃가루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곳은 없습니다. <br> <br> 기름 성분이 있는 꽃가루는 피부질환, 호흡기 질환만이 아니라 화재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 <br><br> 특히 차량 틈새에 끼어있던 꽃가루에 작은 불씨가 옮겨 붙어 폭발로 이어지기도 합니다. <br> <br> 당국은 꽃가루가 습격하는 봄철에 물을 뿌리고 암나무의 발화를 막는 약물까지 주입해보지만 효과는 크지 않습니다. <br> <br> 베이징에서 자라는 나무를 모두 관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. <br> <br> 중국 전역에서 알려진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는 2억 명 규모. <br> <br> 수십년 동안 이어진 꽃가루 피해에 이젠 익숙해졌다는 주민들도 있습니다. <br> <br>[따이나 / 베이징시 주민] <br>"베이징에 살아왔기 때문에 익숙하고, 별 불편이 없습니다" <br> <br>[신펑호/ 허베이성 주민] <br>"지역마다 기후적인 특색이 있고, 주민들은 적응하기 마련입니다." <br> <br> 미세먼지와 황사보다 베이징 시민을 더욱 위협하고 있는 봄철 꽃가루 폭탄. <br> <br> 미숙했던 녹화사업이 원인이기에 뚜렷한 해결책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. <br> <br>사공성근 베이징 특파원<br>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사공성근 기자 402@donga.com